2025/04 114

IT 의사결정 구조와 위원회 운영 방안 [IT조직과 거버넌스 #6]

IT거버넌스를 실질적으로 실행하기 위해서는 의사결정 구조와 이를 뒷받침하는 위원회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복잡하고 다양한 IT 요구가 존재하는 환경에서는 단일 권한자 중심의 결정보다는, 조직적 협의를 기반으로 한 위원회 중심 거버넌스가 더욱 효과적이다. 본 글에서는 IT의사결정의 구조적 분류, 위원회 설계 원칙, 실무 운영 전략을 정리한다.IT의사결정의 5대 영역MIT Sloan과 Weill & Ross가 제시한 기준에 따르면 IT의사결정은 다음의 5가지 범주로 구분된다:IT 원칙(Principles): 조직의 IT운영 전반에 적용되는 가이드라인 정의IT 아키텍처(Architecture): 기술 표준, 시스템 구조 등 설계 결정IT 인프라(Infrastructure): 서버, 네트워크 등 기..

IT성과관리와 KPI 체계 수립 가이드 [IT조직과 거버넌스 #5]

IT조직의 전략과 운영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지를 판단하려면 성과 측정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다. IT성과관리는 단순히 시스템 운영의 효율성을 넘어서, 조직의 비즈니스 목표 달성에 IT가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수치로 증명하는 중요한 지표다. 이 글에서는 IT성과관리의 핵심 개념, KPI 설계 기준, 실제 운영 사례를 정리한다.IT성과관리의 개념IT성과관리란 IT조직의 활동이 조직의 전략 및 운영목표에 얼마나 기여했는지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이를 기반으로 IT조직의 운영을 개선하는 관리 체계를 의미한다. 성과관리는 다음의 목적을 갖는다:IT투자의 정당성과 효과성 검증조직 내 IT조직의 위상 강화성과 기반의 인력/예산 배분비즈니스와의 Alignment 수준 확인IT성과 측정의 핵심 지표 유형성과관리를 ..

IT거버넌스 체계 수립의 핵심 요소 [IT조직과 거버넌스 #4]

IT조직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전략과 실행을 아우르는 명확한 거버넌스 체계가 필요하다. IT거버넌스는 단순한 규제나 통제를 넘어, 조직의 전략적 목표와 IT활동 간의 정렬, 그리고 지속적인 성과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관리 프레임워크다. 본 글에서는 실무 중심의 IT거버넌스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들을 정리한다.IT거버넌스란 무엇인가 (요약)IT거버넌스는 IT가 조직의 목표 달성에 기여하도록 방향을 설정하고, 관련 자원을 통제하고, 성과를 관리하는 일련의 체계이다. 이는 다음 세 가지 핵심 기능으로 요약된다:Evaluate – 이해관계자의 요구와 옵션을 분석Direct – 전략 방향 설정 및 우선순위 부여Monitor – 성과와 규정 준수 여부를 감시이러한 구조는 COBIT, I..

CIO의 역할 변화와 조직 내 리더십 [IT조직과 거버넌스 #3]

과거 CIO(Chief Information Officer)는 기술 인프라와 시스템 운영을 총괄하는 '기술 책임자'에 가까운 이미지였다. 그러나 디지털 전환과 IT 중심 경영이 가속화되면서, CIO의 역할은 기술 관리자를 넘어 조직 내 '디지털 전략 리더'로 확장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CIO의 전통적 역할과 현대적 역할의 차이를 비교하고, 조직 내 리더십 강화를 위한 핵심 역량과 실천 방안을 살펴본다.CIO 역할의 진화CIO의 역할은 시대에 따라 지속적으로 진화하고 있다. 아래는 CIO의 역할 변화 과정을 요약한 것이다:시기주요 역할핵심 과제1990년대인프라 관리자IT 시스템 안정성 확보2000년대IT 프로젝트 리더ERP, CRM 등 시스템 도입 성공2010년대IT-비즈니스 브로커비용 효율화, IT-B..

IT조직 운영모델의 유형과 설계 전략 [IT조직과 거버넌스 #2]

IT조직을 어떻게 구성하고 운영할 것인가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기업 경쟁력의 핵심이 된다. 기업의 IT조직은 단순한 운영조직을 넘어 전략 실행조직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IT운영모델 또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IT조직 운영모델의 주요 유형을 정리하고, 각 기업의 환경에 맞는 운영모델을 어떻게 설계해야 할지 실무적 관점에서 살펴본다.IT조직 운영모델이란?IT조직 운영모델이란 기업 내 IT서비스 및 기능을 어떤 방식으로 제공하고 운영할지를 정의한 조직적 구조와 운영체계를 의미한다. 운영모델은 다음 요소들을 포함한다:조직 구조 (중앙집중형, 분산형 등)업무 역할 및 책임 분장의사결정 구조 및 권한 체계협업 방식 및 보고 체계성과관리 및 자원 배분 체계운영모델은 단순한 조직도 설..

IT조직과 거버넌스의 개념과 역할 [IT조직과 거버넌스 #1]

오늘날 기업이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 IT투자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IT조직을 전략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견제하고 조율할 수 있는 IT거버넌스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수다. 본 글은 그 출발점으로써, 'IT조직'과 'IT거버넌스'의 개념을 명확히 정리하고, 왜 지금 이 주제가 중요한지 실무 관점에서 살펴본다.IT조직이란 무엇인가IT조직은 기업 내에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담당하고 관리하는 부서 혹은 조직 단위를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IT를 지원조직이 아닌 비즈니스 전략의 중심으로 삼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IT조직의 역할과 위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주요 기능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인프라(서버, 네트워크) 관리IT기획 및 전략 수..

세입자 퇴거 시 집주인이 꼭 확인해야 할 사항 정리

임대차 계약이 종료되거나 세입자가 자발적으로 퇴거를 요청하는 경우, 집주인은 여러 가지 행정적·법적·물리적 확인사항을 빠짐없이 점검해야 한다. 단순히 열쇠만 반납받고 끝낼 일이 아니라, 계약, 보증금, 시설물 상태, 공과금 정산 등 다양한 이슈가 얽혀 있어 사전 체크가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세입자 퇴거 시 집주인이 꼭 확인해야 할 사항들을 항목별로 정리해본다.계약 종료 전 필수 확인 사항1. 퇴거 일정 및 계약 해지 합의세입자가 퇴거 의사를 밝힌 경우, 퇴거 희망일과 실제 계약 종료일이 일치하는지를 먼저 확인해야 한다.계약 해지일 이전에 퇴거한다면 별도의 해지 합의서를 작성하거나 위약금 문제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반대로, 계약 종료일 이후에도 거주하고자 할 경우 자동 갱신 여부와 집주인의 갱신 거절..

[주식용어 가이드 #7] 투자 전략 용어 총정리

주식 투자를 장기적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자신만의 투자 전략이 필요하다. 단순히 가격만 보고 사고파는 것을 넘어, 기업의 성장성이나 배당, 리스크 분산 등을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중요하다. 이번 글에서는 투자 철학과 전략을 세우는 데 자주 등장하는 용어 10개를 정리한다.전략적 투자 접근을 위한 핵심 용어 10선1. 가치주 (Value Stock)실적 대비 저평가된 주식이다. PER, PBR이 낮고, 안정적인 수익을 내는 기업이 많다. 오랜 시간에 걸쳐 우상향하는 경우가 많아 장기 투자에 적합하다.2. 성장주 (Growth Stock)현재 이익은 적지만, 향후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기업의 주식이다. PER이 높고, 기술주나 바이오 기업에 많다.3. 배당주 (Dividend Stock)안정적인 배당 수..

재테크 2025.04.11

[주식용어 가이드 #6] ETF와 인덱스 투자 용어 정리

주식 투자에 익숙해질수록 '직접 종목을 고르기보단 ETF로 분산 투자하겠다'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ETF(상장지수펀드)는 간접투자의 대표적인 방식이며, 관련 용어를 제대로 이해해야 올바른 상품 선택과 운용 전략이 가능하다. 이번 글에서는 ETF 및 인덱스 투자와 관련된 핵심 용어 10개를 정리한다.ETF/인덱스 투자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 10선1. ETF (Exchange Traded Fund)지수나 자산 가격을 추종하는 펀드를 주식처럼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이다. 실시간 가격 변동이 있으며, 거래소에서 매수·매도가 가능하다.2. 인덱스 (Index)KOSPI200, S&P500 같은 주가지수를 의미한다. ETF는 이 인덱스를 추종해 구성된다.3. 추종지수 (Tracking Index)ETF가 수익..

재테크 2025.04.11

[주식용어 가이드 #5] 증시 뉴스와 거시경제 용어 정리

주식 시장은 기업 실적 외에도 다양한 외부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 금리, 환율, 물가, 경기 사이클 등 거시경제 지표는 주식시장 방향성을 결정짓는 핵심 변수다. 이번 글에서는 뉴스와 경제지표를 읽을 때 자주 접하게 되는 용어 10개를 정리해본다.주식 시장 외부 변수 이해를 위한 거시경제 용어 10선1. 금리 (Interest Rate)돈의 가격이다. 기준금리가 오르면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소비와 투자도 위축된다. 일반적으로 금리가 오르면 주식시장에는 부정적이다.2.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 디플레이션은 물가 하락을 의미한다. 인플레이션이 과도하면 금리 인상 가능성이 커져 증시에 부담이 된다.3. 기준금리 (Base Rate)한국은행 또는 미국의 연준(Fed) 등 중앙은..

재테크 2025.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