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전략 11

실행계획 수립과 KPI 설정 방법 [DX전략 실전 가이드 #7]

실행과제를 도출한 이후에는 실제 조직 내에서 이를 추진할 수 있도록 **구체적인 실행계획과 성과관리 체계(KPI)**를 수립해야 한다. 이 단계는 전략이 문서로 끝나지 않고 행동으로 이어지게 하는 핵심 고리다.1. 실행계획의 구성 요소DX 실행계획은 다음의 주요 요소로 구성된다:구성 항목설명연차별 추진 일정과제별로 연도/분기 단위 목표 설정 (예: 1년차 PoC, 2년차 확산)소요 예산과제별 예상 예산 및 ROI 추정조직 및 책임부서각 과제별 주관부서와 협업부서 명시외부 협력솔루션사, 컨설팅사, 외주사 등 협업 필요 여부리스크 관리 방안예상 장애 요인과 대응 전략 2. KPI는 전략과 과제를 연결하는 핵심 지표KPI(Key Performance Indicator)는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전략과 실행을 ..

DX 전략 수립 절차와 핵심 활동 [DX전략 실전 가이드 #5]

DX 전략 수립은 단지 몇 가지 과제를 나열하는 수준이 아니다. 전체 경영 전략과 정렬된 방향성을 설계하고, 실현 가능한 실행계획으로 연결하는 일련의 흐름이 중요하다.이 글에서는 DX 전략 수립의 절차와 각 단계별 핵심 활동을 소개한다. 특히 중소·중견기업도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전 중심으로 구성했다.1. DX 전략 수립 절차 개요DX 전략 수립은 보통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성된다:비전 및 방향성 설정환경/현황 분석전략 목표 및 방향 도출핵심 실행과제 도출이행계획 및 KPI 수립2. 단계별 주요 활동단계핵심 활동비전 설정DX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미래상 정의 (예: 고객 중심 플랫폼 기업)환경 분석PEST, 산업 동향, 경쟁사 벤치마킹, 내부 성숙도 진단 등전략 도출디지털 비전, 전략 방향성, 전략 테..

DX 전략 vs 경영·IT 전략의 관계와 차이점 [DX전략 실전 가이드 #2]

디지털 전환(DX) 전략은 기존의 경영전략이나 IT 전략과 무엇이 같고, 무엇이 다를까? 많은 조직이 DX를 추진하려 할 때 기존 전략 틀 안에서 혼란을 겪는다. "그거 IT 전략이랑 뭐가 달라?", "기존 경영전략에 그냥 디지털 과제 하나 붙이면 되는 거 아냐?"라는 질문이 대표적이다.이 글에서는 DX 전략이 기존 전략들과 어떻게 연결되며, 무엇이 본질적으로 다른지를 정리해 본다. 기존 전략과 DX 전략의 관계를 이해하면, 중복 없이 강력한 전략 체계를 수립할 수 있다.1. 세 전략의 핵심 목적 비교구분경영전략IT전략DX전략목적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확보비즈니스 전략을 지원하는 IT 자원 최적화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전사적 혁신 및 민첩성 확보핵심 질문"무엇으로 경쟁할 것인가?""IT로 어떻게..

DX 전략이란 무엇인가 – 디지털 전환의 개념과 핵심 포인트 [DX전략 실전 가이드 #1]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 이하 DX)은 이제 더 이상 일부 기업의 선택이 아니라, 모든 기업이 맞닥뜨려야 할 생존 전략이 되었다. 하지만 "DX 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말을 들으면 막연한 경우가 많다. 무엇부터 해야 할지, 기존 IT 전략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명확하지 않기 때문이다.이 글에서는 DX 전략이란 무엇인지, 기존의 전략들과 어떤 차별점이 있는지, 왜 지금 DX 전략 수립이 필요한지에 대해 정리해본다.1. 디지털 전환(DX)의 정의단순한 디지털화(Digitization) 또는 디지털 기술 도입(Digitalization)과 DX는 다르다.디지털화와 디지털 전환의 차이 용어의미예시Digitization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로 전환종이 문서를 PDF로 스캔Digi..

IT 투자로 ROI 150% 달성한 기업들의 비밀 전략

많은 기업들이 IT 기술 도입과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 그 투자가 성공적으로 비즈니스 성과로 이어지는 사례는 생각보다 많지 않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 Accenture에 따르면, 기업들의 IT 투자 프로젝트 중 실제로 기대 이상의 ROI(Return on Investment)를 얻는 사례는 전체의 25%도 되지 않는다고 한다.그렇다면, 과연 IT 투자를 통해 성공적으로 높은 ROI를 달성한 기업들의 비결은 무엇일까? 이번 글에서는 IT 투자를 통해 ROI 150% 이상의 성과를 거둔 기업들의 실제 사례를 분석하고, 그들이 어떻게 전략적으로 접근했는지를 구체적인 사례와 전략으로 소개한다.IT 투자 ROI, 왜 제대로 달성되지 않는가..

IT 컨설턴트가 자주 마주하는 고객사의 문제 유형 TOP5

고객사는 왜 IT 컨설팅이 필요할까? 기업과 공공기관이 IT 시스템을 도입하거나 디지털 전환(DX)을 추진할 때,혼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들이 많아진다.이때 IT 컨설턴트가 투입되어 문제를 해결하고 최적의 전략을 제시하게 된다. 📌 고객사가 IT 컨설팅을 요청하는 이유는?✅ IT 시스템을 구축해야 하지만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름✅ 기존 IT 인프라가 노후화되어 성능과 보안 문제가 발생✅ 새로운 기술(AI,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 등)을 도입하려고 하지만 내부 역량이 부족✅ 예산과 일정이 한정적이라 최적의 솔루션을 찾기 어려움✅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얽혀 있어 프로젝트 의사결정이 지연이번 글에서는 IT 컨설턴트가 고객사에서 가장 많이 마주하는 문제 유형 5가지와 해결 방법을 정리해보겠다.1. IT 시..

IT 컨설팅 프로젝트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 전략

IT 컨설팅 프로젝트는 기업의 디지털 전환, 시스템 구축, 운영 효율화 등을 지원하지만,실제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보면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자주 발생한다. 📌 기업이 IT 컨설팅 프로젝트에서 겪는 주요 문제✅ 컨설팅 결과가 기대와 다를 때✅ 프로젝트 일정이 계속 지연될 때✅ 내부 직원과 컨설팅팀 간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울 때✅ 컨설팅 후 실행 단계에서 난항을 겪을 때📌 이번 글에서는 IT 컨설팅 프로젝트에서 자주 발생하는 문제 유형과 이를 해결하는 전략을 분석해보겠다.1. IT 컨설팅 프로젝트에서 흔히 발생하는 문제 유형📍 문제 1: 컨설팅 결과가 기대와 다를 때📌 사례A 기업은 IT 거버넌스를 개선하기 위해 컨설팅을 진행했다.컨설팅 보고서를 받았지만, 내용이 기대했던 수준과 달랐다.❌ "우리가 원..

IT 아웃소싱, 비용 절감의 정답일까? – 기업이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

많은 기업이 IT 운영 및 개발을 외부 업체에 맡기는 'IT 아웃소싱(ITO라고 하기도 한다.)을 고려한다.특히 IT 인력 확보가 어려운 중소기업이나, 비용 절감을 원하는 대기업에서도 아웃소싱이 전략적인 선택이 될 수 있다.하지만, IT 아웃소싱은 무조건 좋은 선택이 아니다.✔ 비용 절감 효과는 있지만, 의사결정 속도가 느려질 수도 있다.✔ IT 운영을 맡길 수 있지만, 보안과 데이터 보호 이슈가 발생할 수도 있다.그렇다면, IT 아웃소싱을 고려할 때 기업이 반드시 체크해야 할 사항은 무엇일까?이번 글에서는 IT 아웃소싱의 장단점과 성공적인 아웃소싱 전략을 정리해보겠다.1. IT 아웃소싱이란?IT 아웃소싱은 기업이 내부 IT 업무를 외부 서비스 제공업체(벤더)에게 위탁하는 것을 의미한다.아웃소싱 범위는 ..

기업이 ERP를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 고려해야 할 점

클라우드 ERP 도입, 무조건 따라가야 할까?최근 많은 기업이 기존 온프레미스(On-Premise) ERP에서 클라우드 기반 ERP(Cloud ERP)로 전환을 검토하고 있다.SAP, Oracle, MS 등 주요 ERP 벤더들도 클라우드 우선 전략(Cloud-First)을 강조하면서,전통적인 온프레미스 ERP의 지원을 점차 축소하는 방향으로 가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ERP로 전환하면 무조건 이득일까?📌 전환 과정에서 어떤 문제를 고려해야 할까?📌 우리 기업은 클라우드 ERP로 가야 할까, 아니면 온프레미스를 유지해야 할까?이번 글에서는 기업이 ERP를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들을 정리해보겠다.1. 클라우드 ERP란? 온프레미스 ERP와의 차이기존 ERP 시스템은 대부분 기..

기업의 레거시 시스템 개선 전략

낡은 IT 시스템을 그대로 두면, 기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많은 기업과 공공기관이 여전히 **낡은 IT 시스템(레거시 시스템, Legacy System)**을 운영하고 있다.하지만, 레거시 시스템을 그대로 두면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이 어려워지며, 보안 리스크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이란?✅ 10년 이상 운영되어 기술적으로 노후화된 IT 시스템✅ 최신 기술(클라우드, AI, API)과 연동이 어려운 시스템✅ 유지보수 인력 부족, 운영 비용 증가, 보안 취약점이 있는 시스템 사실 레거시 시스템의 문제를 몰라서 안 바꾸는 게 아니다.대부분은 시스템 노후화에 따른 EOS(End Of Service), EOL(End Of Life), 노후 플랫폼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