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DX), IT

IT조직과 거버넌스의 개념과 역할 [IT조직과 거버넌스 #1]

SwimPark 2025. 4. 19. 11:22
반응형

IT조직과 거버넌스 시리즈 (swimparkslog.com)

 

오늘날 기업이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고 IT투자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기술을 도입하는 것을 넘어, IT조직을 전략적으로 운영하고 이를 견제하고 조율할 수 있는 IT거버넌스 체계를 갖추는 것이 필수다. 본 글은 그 출발점으로써, 'IT조직'과 'IT거버넌스'의 개념을 명확히 정리하고, 왜 지금 이 주제가 중요한지 실무 관점에서 살펴본다.

IT조직이란 무엇인가

IT조직은 기업 내에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담당하고 관리하는 부서 혹은 조직 단위를 의미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IT를 지원조직이 아닌 비즈니스 전략의 중심으로 삼는 기업이 늘어나면서, IT조직의 역할과 위상이 크게 달라지고 있다.

주요 기능

  • 시스템 운영 및 유지보수
  • 인프라(서버, 네트워크) 관리
  • IT기획 및 전략 수립
  • 업무 시스템 개발 및 개선
  • 정보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

최근에는 IT조직이 단순한 기술 담당을 넘어서 다음과 같은 업무까지도 수행한다:

  • 데이터 분석 기반의 의사결정 지원
  • 클라우드 및 SaaS 도입
  • AI, RPA 등 신기술 도입 및 운영

전통적 IT조직 vs 현대적 IT조직

구분 전통적 IT조직 현대적 IT조직
역할 백오피스 운영 중심 디지털 전략 실행 주도
위치 지원부서 전략부서 또는 C레벨 소속
업무 유지보수 중심 기획, 분석, 혁신 주도
인력구성 기술자 위주 IT기획자, PM, 데이터분석가 등 다기능화

IT거버넌스란 무엇인가

IT거버넌스(IT Governance)는 조직의 비즈니스 목표 달성을 위해 IT가 전략적으로 사용되도록 관리하고 감독하는 체계를 말한다. 이는 단순한 규제나 통제를 넘어서, IT에 대한 의사결정 권한 분배, 성과 측정 체계, 리스크 관리 방안을 포함한다.

COBIT이 정의하는 IT거버넌스

국제적으로 널리 활용되는 프레임워크인 COBIT 2019에서는 IT거버넌스를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Stakeholders’ needs, conditions and options are evaluated to determine balanced, agreed-on enterprise objectives to be achieved; setting direction through prioritisation and decision making; and monitoring performance and compliance against agreed-on direction and objectives."

즉, IT거버넌스는 다음 3가지를 핵심 기능으로 한다:

  1. Evaluate -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평가
  2. Direct - 우선순위와 방향성을 설정
  3. Monitor - 성과와 규정 준수를 모니터링

왜 지금 IT조직과 거버넌스가 중요한가

1. 디지털 전환 가속화

기업의 경쟁우위가 기술역량에 좌우되는 시대다. IT조직이 얼마나 민첩하고 전략적으로 움직이느냐에 따라 비즈니스 혁신의 성패가 갈린다. 여기에 IT조직의 민첩성을 견제하고 체계화하는 거버넌스가 반드시 병행되어야 한다.

2. 투자 대비 성과 미흡 문제

IT예산은 늘어나고 있지만 실제 성과를 체감하지 못하는 기업이 많다. 이는 IT운영의 불투명성, 성과관리 미흡, 의사결정 구조 부재 등 거버넌스 결여에서 비롯된다.

3. 외부 규제 및 리스크 증가

  • 개인정보보호법, ISMS 등 IT 관련 법적 규제 강화
  • 정보보안 사고의 빈도 증가
  • ESG 관점에서의 IT 리스크 관리 이슈 부각

4. 비즈니스-IT Alignment의 필요성

IT가 비즈니스를 단순히 지원하는 수준을 넘어 전략 실행의 주체로 바뀌고 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바로 비즈니스 목표와 IT전략의 정렬이며, 이를 제도화하는 것이 IT거버넌스다.

IT조직 운영과 거버넌스를 위한 개념 정리 체크리스트

항목 질문 점검 포인트
조직 위상 IT조직이 전략부서로 인식되고 있는가? CEO/CIO 직속, 전략회의 참여 여부
역할 정의 IT조직의 역할이 기획, 분석까지 확장되어 있는가? 단순 유지보수 외 업무 비중
권한 구조 IT 관련 주요 의사결정 권한은 누구에게 있는가? 위원회 운영, 예산 편성 권한 등
성과관리 IT성과를 수치로 측정하고 있는가? KPI, ROI 관리 체계 유무
외부 대응 보안/개인정보 등 법적 이슈 대응이 체계화돼 있는가? ISMS, 보안 감사 등 대응 프로세스

이러한 질문은 이후 편에서 구체적으로 다룰 예정이며,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 참고 자료 및 출처


『IT조직과 거버넌스』 시리즈는 디지털 전환 시대에 필수적인 IT조직의 역할과 운영, 거버넌스 체계 수립 방안을 다룬다. 실무자 입장에서 IT조직 운영모델, KPI 설계, 위원회 구성, 성과관리, 리스크 대응 등 구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모두 활용 가능한 실전형 가이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편은 독립적으로도 읽을 수 있도록 구성돼 있다. 실무 중심으로 체계적인 이해와 적용이 가능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