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노션 업무 활용 가이드 #2] 업무용 노션 환경 세팅하기 – 워크스페이스와 페이지 구조

SwimPark 2025. 4. 2. 18:36
반응형

 

 

 

업무에 노션을 도입하기로 했다면, 가장 먼저 고민해야 할 것은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다. 제대로 구조화하지 않으면 노션은 금방 문서 창고처럼 변해버린다. 실무에서 효율을 극대화하려면, 워크스페이스와 페이지를 전략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션 워크스페이스의 개념 이해하기

워크스페이스는 팀 또는 조직 단위의 공간으로, 하나의 기업 조직 전체가 사용할 수도 있고, 부서 단위로 나눠 운용할 수도 있다. 실무에서는 보통 하나의 워크스페이스 아래 다양한 프로젝트와 부서별 폴더를 구성한다.

워크스페이스 설정 시 고려할 점

  • 조직 규모에 맞게 구분: 스타트업은 하나의 워크스페이스에서 전사 통합 관리, 대기업은 부서별 워크스페이스 운용
  • 접근 권한 설계: 민감 정보는 Private 또는 제한 공유, 일반 문서는 전체 공개
  • 기본 구조 정의: 업무 성격에 따라 페이지 구조를 사전에 설계

실무에 맞는 페이지 구조 설계

노션 페이지는 폴더처럼 계층 구조를 갖는다. 아래는 실무에서 자주 쓰는 대표적인 구조 예시다.

기본 구조 예시

  • 🏠 홈 (최상위 대시보드)
    • 📁 프로젝트 관리
      • 프로젝트 A
      • 프로젝트 B
    • 📁 회의록 모음
    • 📁 위클리 리포트
    • 📁 업무 매뉴얼

홈 대시보드 구성 요소

  • 오늘의 할 일 요약 (Todo 리스트)
  • 이번 주 주요 일정 (캘린더 뷰)
  • 주요 문서 링크 바로가기
  • 공지사항 영역

이처럼 하나의 홈 페이지를 중심으로 모든 업무 흐름이 연결되게 만드는 것이 핵심이다.

권한과 공유 구조 설계

업무용으로 노션을 운용할 경우, 반드시 권한 체계를 잘 설계해야 한다. 예를 들어:

  • 전체 회의록: 전사 공개
  • 인사 문서: HR 전용, 권한 제한
  • 프로젝트 문서: 담당자 중심 공유

페이지별로 '보기 전용', '편집 가능' 등 세분화된 권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외부 클라이언트에게 특정 문서만 공유 링크로 제공할 수도 있어 유용하다.

결론: 정리된 구조가 노션 성공의 시작이다

노션을 쓰다보면 페이지가 점점 많아진다. 이럴수록 처음 구조를 어떻게 설계했는지가 생산성과 직결된다. 단순히 보기 좋은 페이지가 아니라, 팀 전체가 이해하고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구조가 중요하다. 다음 편에서는 이 구조를 바탕으로 회의록, 업무일지 등 실무에서 반복되는 문서들을 템플릿으로 만드는 방법을 알아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