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디지털 전환(DX), IT 139

API 기반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MSA)의 차이와 적용 사례

제목이 좀 이상하지 않은가? 컴퓨터공학 전공자로써 API와 MSA가 헷갈리는 게 이해는 안 된다..그런데 컨설팅을 하면서 API와 MSA의 차이를 모르겠다는 고객이 가끔 있다.완전히 다른 개념인데 그 차이를 모르겠다 하니 차이를 설명하기도 애매해서 곤란했던 경험이 있다. 전혀 다른 개념인 API와 MSA에 대한 내용을 한 번 정리해봤다. -----디지털 전환(DX)이 가속화되면서, 많은 기업이 기존 모놀리식(Monolithic) 아키텍처에서API 기반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MSA, Microservices Architecture)로 전환하고 있다.📌 그런데, API와 MSA는 같은 개념일까?📌 API를 도입하면 무조건 MSA로 전환해야 할까?📌 기업에서는 언제 API를 활용하고, 언제 MSA를 ..

기업의 레거시 시스템 개선 전략

낡은 IT 시스템을 그대로 두면, 기업 경쟁력이 떨어진다!많은 기업과 공공기관이 여전히 **낡은 IT 시스템(레거시 시스템, Legacy System)**을 운영하고 있다.하지만, 레거시 시스템을 그대로 두면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이 어려워지며, 보안 리스크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이란?✅ 10년 이상 운영되어 기술적으로 노후화된 IT 시스템✅ 최신 기술(클라우드, AI, API)과 연동이 어려운 시스템✅ 유지보수 인력 부족, 운영 비용 증가, 보안 취약점이 있는 시스템 사실 레거시 시스템의 문제를 몰라서 안 바꾸는 게 아니다.대부분은 시스템 노후화에 따른 EOS(End Of Service), EOL(End Of Life), 노후 플랫폼 ..

IT 시스템 통합(SI) 프로젝트의 주요 실패 원인과 대응 전략

왜 IT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는 자주 실패할까?IT 프로젝트 중에서도 시스템 통합(SI, System Integration) 프로젝트는 난이도가 높고, 실패 확률도 높은 편이다.ERP, CRM, 그룹웨어, 데이터 플랫폼 등의 IT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하는 과정에서 예산 초과, 일정 지연, 성능 문제, 데이터 오류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례는 멀리 갈 것 없이, 최근 뉴스 등을 통해 알려진 것들만 해도 많이 있다.사기업의 경우 이렇게까지 언론에 보도되는 경우는 잘 없지만 현실에선 비일비재하다. https://www.etnews.com/20241021000276 차세대 지방세시스템, 결국 소송전차세대 지방세입정보시스템 사업이 소송전에 돌입한다. 발주자인 공공과 수행사 간 갈등이 원만히 해결되지..

공공 IT 사업의 SW 대가산정 가이드(2024) 핵심 정리

공공 SW 개발비 산정, 어떻게 해야 할까?공공 IT 사업에서 가장 중요한 단계 중 하나가 바로 SW 개발비 산정이다.특히, 공공기관에서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에서 발행하는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를 준용해 개발비를 산정하는 경우가 많다.이 가이드는 매년 개정되며, 공공 SW 사업을 추진하는 기관, 사업자, 컨설턴트들이 반드시 숙지해야 할 필수 문서다.그렇다면, 2024년 개정판에서는 어떤 변화가 있었을까?그리고 SW 개발비를 산정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할 핵심 사항은 무엇일까?이번 글에서 2024 SW 대가산정 가이드의 핵심 내용과 주요 변화를 정리해보았다.1. SW 대가산정 가이드란?📌 SW 대가산정 가이드란?   SW 사업의 개발비를 표준화된 방식으로 산정하기 위해 마련된 지침서로,공공..

정보화전략계획(ISP) 컨설팅의 역할과 프로젝트 예산 관리

IT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기업이나 공공기관에서는 사전에 철저한 계획을 수립하지 않으면,과도한 예산 낭비와 일정 지연, 기대했던 성과 미달 등의 문제를 겪게 된다.이런 문제를 방지하고, 장기적인 IT 전략을 수립하는 핵심 과정이 바로 ISP(정보화전략계획) 컨설팅이다.이번 글에서는 ISP 컨설팅이 무엇인지, 어떤 역할을 하는지,그리고 IT 프로젝트 예산을 어떻게 관리할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자.1. 정보화전략계획(ISP)이란?ISP(Information Strategy Planning)는 조직의 IT 시스템 도입 및 개선을 위한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이다.📌 ISP의 주요 목적✅ 조직의 IT 방향성을 명확히 정립✅ 비즈니스 목표와 IT 전략의 정렬(Alignment)✅ 예산 낭비를 방지하고, 최적..

IT 프로젝트 예산 산정 시 고려해야 할 주요 요소들

프로젝트 예산, 제대로 산정하지 않으면 실패로 이어진다!IT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예산 산정이다.하지만 예산을 잘못 책정하면 프로젝트가 지연되거나, 예상보다 더 많은 비용이 발생할 위험이 크다.✅ 예상보다 높은 예산 → 사업 승인이 어렵거나 예산 낭비✅ 예상보다 낮은 예산 → 프로젝트 중단, 품질 저하, 일정 지연 특히, 공공기관이나 기업의 IT 프로젝트에서는 초기 예산을 정확하게 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근 공공기관들의 대형 IT프로젝트들이 과도한 추가개발 요구로 인해 구축사업 자체가 중단되고 심하게는 소송전까지 이어지는 경우도 허다하다. 사업에 참여한 SI업체들도 어지간하면 손해를 감수하고서라도 실적을 만들려 할텐데, 그 수준을 아득히 뛰어넘는 수준이어서 그렇겠지?..

ERP 구축 사업비, 기능점수(FP) vs. 투입공수(M/M) 기반으로 산정해야 할까?

최근 ERP 구축 사업의 정보화전략계획(ISP) 컨설팅을 하면서, 본격적인 개발 예산을 산정하는 단계가 있었다.공공부문의 경우 소프트웨어 개발비 산정 기준은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의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2024)」**를 따르게 되는데, 이 가이드에서는 기본적으로 기능점수(FP, Function Point) 방식을 권장하고 있다. 하지만 ERP 구축과 같은 대형 시스템 통합 프로젝트의 경우, 기능점수 방식이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다.실제 현업에서는 기능점수가 아닌 투입공수(M/M, Man-Month) 기반 산정이 더 적절하다는 의견도 많다.과연 어떤 방식이 더 ERP 구축 사업에 적합할까? 이번에는 ERP 개발비 산정 시 기능점수 방식과 투입공수 방식을 비교하고, ERP 구축 사업에서는 왜 투입공..

디지털플랫폼정부 정책의 미래는? - 존폐 기로에 선 디플정 정책

요즘 뉴스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과 재판 이야기가 계속 나오고 있다. 만약 조기 대선이 현실화된다면, 윤 정부가 밀어붙였던 디지털플랫폼정부 정책도 큰 변화를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일하는 IT컨설턴트 입장에서는 이게 단순한 정치 뉴스가 아니라, 우리 밥줄과 직결된 문제이기도 하다.그렇다면 지금까지 디지털플랫폼정부 정책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됐고, 정권이 바뀌더라도 꼭 이어졌으면 하는 부분은 무엇인지 한 번 짚어보자.디지털플랫폼정부, 그게 뭐였더라?윤석열 정부는 행정 서비스의 디지털화를 통한 효율성 강화를 주요 국정과제로 내세웠고, 이를 디지털플랫폼정부라는 이름으로 추진해 왔다. 쉽게 말하면, 정부도 IT 기업처럼 데이터 기반으로 똑똑하게 일하고, 국민과 기업이 더 편리하게 행정 서비스..

데이터 사일로(Data Silo): 조직간 데이터는 왜 공유되지 않을까?

최근 관련 사업 제안서를 작성하면서 ‘데이터 사일로(Data Silo)’라는 개념을 다시금 깊이 있게 들여다보게 되었다.이 개념은 사실 IT 컨설팅을 하면서 공공기관이나 기업을 만날 때마다 마주하는 현실이기도 하다.오늘은 데이터 사일로가 무엇인지, 왜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들을 정리해보려고 한다.데이터 사일로란?데이터 사일로(Data Silo)는 조직 내에서 서로 다른 부서나 시스템이 데이터를 독립적으로 보유하여 공유되지 않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사일로(Silo)’는 원래 곡물을 보관하는 저장 창고에서 유래된 단어다.각 사일로가 독립적으로 운영되듯, 조직 내 데이터도 부서별로 따로 저장·운영되면서 서로 원활하게 연결되지 않는 것을 뜻한다. 데이터 사일로의 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