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DX), IT

PMO가 실무에 개입할 때 생기는 갈등과 해소 전략

SwimPark 2025. 4. 24. 12:36

[PMO 실전 이해 가이드] 시리즈

 

PMO는 프로젝트 운영의 조율자 역할을 맡지만, 그 개입 방식에 따라 실무팀과의 갈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PMO는 감시만 하지, 실질적 도움은 안 돼”, “결정은 PM이 했는데, 왜 우리가 PMO한테 보고해야 해?” 같은 불만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자주 등장하는 목소리다. 이번 글에서는 PMO 개입 시 나타날 수 있는 갈등 유형과 이를 효과적으로 해소하는 전략을 소개한다.


1. 갈등이 발생하는 주요 상황

다음은 IT 프로젝트에서 자주 발생하는 PMO와 실무팀 간 갈등 유형이다:

  • 이슈 보고 누락 지적: 실무팀은 빠르게 대응하는 데 집중하지만, PMO는 공식 보고 프로세스를 요구함
  • 산출물 형식 간섭: 실무팀은 결과 중심으로 접근하지만, PMO는 표준 양식과 절차를 강조함
  • 회의/보고 빈도 과다: 실무팀 입장에서는 불필요한 행정 부담으로 인식되기도 함
  • 역할 오버랩: PMO가 실무 판단까지 개입할 경우, PM 또는 PL과 권한 충돌이 발생함

2. 갈등의 근본 원인

이러한 갈등은 대부분 PMO의 역할과 위치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 비롯된다. 실무 입장에서는 ‘우리가 책임지고 결과를 만드는 조직’이라는 인식이 강하고, PMO는 ‘감시와 간섭을 하는 관리자’로 보이기 쉽다.

또한, 다음과 같은 요소도 갈등을 키운다:

  • PMO의 기준이 실무 상황과 맞지 않는 경우
  • PMO의 설명 없이 일방적인 양식이나 지침만 전달될 경우
  • 실무자의 작업 피드백이 PMO에 반영되지 않는 경우

3. 갈등 해소 전략

① 역할 명확화부터 시작하라

  • 프로젝트 착수 시점에 PMO와 실무조직 간 R&R (역할과 책임) 매트릭스를 공유한다.
  • 업무 흐름도와 승인체계를 문서화해 ‘누가 무엇을 언제까지 해야 하는가’를 명확히 한다.

② ‘기준’보다 ‘맥락’을 설명하라

  • PMO는 양식이나 일정표를 전달할 때, “이 기준이 왜 필요한지”, “이 기준이 어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것인지”를 함께 설명한다.

③ 공감 기반의 커뮤니케이션을 장착하라

  • 실무자의 시간과 일정을 존중하는 보고 요청 방식, 회의 소집 기준을 갖춘다.
  • ‘왜 안 했냐’보다는 ‘무엇이 어려웠는지’를 먼저 묻는 질문으로 접근한다.

④ PMO 내부의 ‘조정자’ 역할을 지정하라

  • 일정이나 산출물 관련 갈등이 반복된다면, PMO 내에 **‘조율 중심의 역할’**을 분리해두는 것도 효과적이다.

PMO는 프로젝트의 성과를 만들기 위해 ‘흐름’을 관리하는 조직이다. 실무조직과의 갈등을 줄이기 위해서는 규범을 지키는 방식이 아니라, 신뢰를 쌓는 방식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다음 회차에서는 프로젝트 유형별로 PMO의 운영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본다.


📝 이 글은 “IT 프로젝트에서의 PMO 실전 이해 가이드”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다음 회차에서는 SI, SM, 공공 프로젝트별 PMO 운영 전략을 안내합니다.


▼ 시리즈 내 다른 글 보기 (링크)

1. PMO란 무엇인가? IT 프로젝트에서의 실질적 의미

2. PMO는 왜 필요한가? 도입 목적과 기대 효과

3. PMO의 주요 기능 정리: 통제, 지원, 보고의 균형

4. PMO 조직 구성과 역할 분담은 어떻게 해야 할까?

5. PMO가 실무에 개입할 때 생기는 갈등과 해소 전략

6. 프로젝트 유형별 PMO 운영 전략: SI, SM, 공공사업

7. 기업 규모와 IT 성숙도에 따른 PMO 운영 전략 가이드

8. PMO 운영을 위한 필수 산출물과 템플릿 소개

9. IT 프로젝트에서의 PMO 실전 이해 가이드 – 시리즈 요약 정리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