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DX), IT

ERP 예산 구조 완전정복 [영림원 K-System 도입 실전 가이드 #4]

SwimPark 2025. 3. 29. 07:00
반응형

영림원 ERP 도입 실전 가이드 (swimparkslog.com)

ERP 도입 프로젝트에서 가장 현실적인 고민은 바로 예산이다. 많은 기업이 시스템 도입 자체보다 "얼마가 들까?"에 먼저 집중한다. 하지만 ERP 예산은 단순히 라이선스 비용만으로 판단할 수 없다. 구축, 운영, 커스터마이징, 연계, 인프라 등 다양한 항목이 존재하며, 각각의 비용 구조를 명확히 이해해야 프로젝트 예산을 합리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영림원소프트랩의 ERP(K-System Ace, SystemEver)를 기준으로 ERP 예산의 구성 항목과 실제 산정 방식, 예산 수립 시 체크해야 할 포인트를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ERP 예산의 기본 구성 요소

ERP 도입 예산은 아래의 항목들로 구성된다. 각 항목은 도입 방식(구축형 vs 클라우드형)에 따라 산정 방식과 금액 수준이 다르다.

항목 내용
라이선스 비용 사용자 수(User), 모듈 수(Module), 동시접속 수 기준으로 과금
커스터마이징 표준 기능 외 요구사항 반영 개발, 보고서 추가 등
컨설팅/구축 인건비 분석–설계–개발–테스트–교육–오픈 등 전 과정에 투입되는 인력비용 (M/M 단위)
연계 개발 기존 시스템과의 인터페이스 구축(MES, 그룹웨어, 회계 등)
인프라 서버, DBMS, 백업장비 등(HW/SW), 클라우드일 경우 월 구독료
유지보수 연간 기술지원, 오류 수정, 기능 개선 등 (보통 구축비의 10~20%)
교육/운영 지원 Key-user 및 전체 사용자 교육, 오픈 후 초기 운영 지원

K-System Ace vs SystemEver 예산 구조 비교

항목 K-System Ace (구축형) SystemEver (클라우드형)
라이선스 초기 일시불 과금 (사용자 수 기준) 월 과금 방식 (SaaS 기준)
구축 인건비 고객 맞춤형 커스터마이징 포함 템플릿 기반 구축, 상대적으로 저비용
커스터마이징 자유롭게 가능, 별도 견적 제한적 (표준 기능 위주)
인프라 고객이 자체 구축 또는 별도 구매 클라우드 기반 제공, 포함됨
유지보수 연 단위 계약 (구축 예산의 10~15% 수준) 월 구독료에 포함

구축형(K-System Ace)의 예산 산정 예시

중견 제조업 A사, 500명 직원 구축형 도입 시 예산 예시는 다음과 같다. 예산 항목이 이런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점만 이해하고, 실제 구축 견적은 옵션 모듈 선택유무, 커스터마이징 범위, 할인율 등에 따라 크게 변화하니 별도로 문의하길 바란다. (swimpark@kakao.com)

항목 예산 예시(백만원)
모듈 라이선스 (K-System 기본 모듈, 옵션 모듈 License) 200~
유저 라이선스 (K-System User License) - 500명 기준
- 일반 User License 30명 (모든 권한 부여, 전 모듈 기능 사용 : 재무/회계/예산/급여 등 담당자용)
- ESS User License 470명 (일부 신청, 입력, 조회 기능만 사용 : 일반 임직원용)
100~
구축/컨설팅 M/M (약 30M/M) 300~
커스터마이징 개발 50~
연계 개발 (3개 시스템) 30~
인프라(HW+DB+백업) - MS-SQL, 서버 및 DB 이중화, 백업 등 고려 300~
유지보수(1년) - 첫 해 무상하자보수기간, 다음 해부터 청구 -
총합계 980~

 


예산 수립 시 체크리스트

구분 확인 항목
사용자 수 실사용자 기준으로 산정했는가? 업무별 권한 차별 고려
도입 범위 모듈 수와 기능 범위가 명확히 정리돼 있는가?
커스터마이징 표준기능 외 필요한 추가 개발은 어느 정도인가?
연계 대상 기존 시스템과 몇 건의 인터페이스가 필요한가?
인프라 보유 사내에 구축할 인프라 여건이 있는가? 클라우드 활용 여부는?
유지보수 기술지원, 버그 수정, 헬프데스크 포함 범위는?

정리하며

ERP 예산은 '기능별 단가'가 아니라 '비즈니스 범위'와 '기대 성과'를 기반으로 구성돼야 한다. 특히 K-System Ace처럼 고객 맞춤형으로 유연하게 설계 가능한 ERP는 사전 요구사항 정의와 예산 가이드라인 설계가 매우 중요하다. 반면 SystemEver는 초기 도입비용은 낮지만, 장기적으로 사용 기간과 확장성에 따라 총비용(TCO)을 비교해봐야 한다.

다음 편에서는 ERP 도입의 실제 산업별 특성과 도입 전략 중, 먼저 제조업에 특화된 접근 방식을 상세히 다룬다.

 

<영림원 ERP 도입 실전 가이드 시리즈 목록>
- 각 편의 제목을 클릭하면 해당 글로 이동합니다

편수 제목 주요 내용
1편 영림원 ERP란? 국내기업 특화 ERP의 강점 영림원소프트랩 ERP(K-System Ace, SystemEver)의 개요 및 외산 ERP 대비 차별점
2편 ERP 도입 전,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 도입 전 점검사항, 조직 구성, 현행 프로세스 정리, 실무 체크리스트
3편 ERP 구축 범위와 모듈 구성 전략 도입 범위 설정, 모듈 우선순위, 업무별 도입 방식 차이 설명
4편 ERP 예산 구조 완전정복 ERP 예산 항목별 구성, 구축형 vs 클라우드형 비교, 실견적 사례
5편 산업별 ERP 도입 전략① 제조업 편 제조업의 생산·BOM·공정·원가 중심 도입 전략 및 사례
6편 산업별 ERP 도입 전략② 유통/물류 편 수불, 재고, 물류비 통합 전략 및 채널별 납기 관리 포인트
7편 산업별 ERP 도입 전략③ 서비스/공공기관 편 회계·예산·인사 중심 설계 전략, 외부 보고서 대응 방안
8편 영림원 ERP 도입 성공사례 모음 산업별 대표 도입사례 및 기대효과 분석
9편 ERP 구축 프로젝트 운영 전략 컨설팅사 선정, TF 구성, 단계별 운영 전략 및 의사결정 체계
10편 ERP 구축 단계별 실전 체크리스트 분석~오픈 단계별 실무자용 체크리스트 제공
11편 ERP 사용자 교육과 정착 전략 사용자 교육 커리큘럼, 초기 4주 운영 전략, 변화관리 방안
12편 ERP 도입 FAQ 총정리 도입 전 자주 묻는 질문과 실무자의 현실적 고민 대응
마무리 마무리: ERP 도입, 시작과 끝을 잇는 전략 시리즈 요약, 핵심 메시지 정리, ERP 도입을 위한 전략적 조언

📌 참고 자료 및 출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