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DX 전략 수립은 단지 몇 가지 과제를 나열하는 수준이 아니다. 전체 경영 전략과 정렬된 방향성을 설계하고, 실현 가능한 실행계획으로 연결하는 일련의 흐름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DX 전략 수립의 절차와 각 단계별 핵심 활동을 소개한다. 특히 중소·중견기업도 활용할 수 있도록 실전 중심으로 구성했다.
1. DX 전략 수립 절차 개요
DX 전략 수립은 보통 다음과 같은 5단계로 구성된다:
- 비전 및 방향성 설정
- 환경/현황 분석
- 전략 목표 및 방향 도출
- 핵심 실행과제 도출
- 이행계획 및 KPI 수립
2. 단계별 주요 활동
단계 | 핵심 활동 |
비전 설정 | DX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미래상 정의 (예: 고객 중심 플랫폼 기업) |
환경 분석 | PEST, 산업 동향, 경쟁사 벤치마킹, 내부 성숙도 진단 등 |
전략 도출 | 디지털 비전, 전략 방향성, 전략 테마 설정 (예: 고객경험 혁신) |
과제 도출 | 전략테마별 세부 실행과제, 핵심 기술 매핑, 로드맵 구성 |
실행계획 | 연차별 계획, KPI, 조직·예산·운영 체계 수립 |
3. 전략 구조 예시

4. 유의사항: 문서보다 실행 중심 전략
- 전략 문서만 멋지게 만들고 끝나는 경우가 많다 → 반드시 실행 기반으로 구성
- 3년 단위 장기 전략과 1년 단위 실행계획을 함께 수립해야 지속 가능
- 내부 현업 부서와 함께 설계해야 실현 가능성 높음
5. 정리: 전략은 방향이자 실천 계획이다
좋은 전략은 조직의 방향을 제시하면서도 실행을 이끌 수 있어야 한다. DX 전략은 기술·시장·조직을 아우르는 통합 설계도다.
👉 다음 편에서는 전략에서 도출된 실행과제를 어떻게 구체화할 수 있을지 정리해본다.
<DX전략 실전 가이드 전체 구성(주제를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편수 | 주제 (클릭하면 이동) | 핵심내용 |
1편 | DX 전략이란 무엇인가 | DX의 개념, 기존 전략과의 차이점 정리 |
2편 | DX vs 경영·IT 전략 비교 | 전략적 위상과 수립 방식 비교, 통합 관점 강조 |
3편 | 환경 분석 방법 | 외부(Pest, 산업 수준) + 내부(기술·문화) 분석 기법 |
4편 | DX 수준 진단 | 디지털 성숙도 프레임워크와 진단 도구 소개 |
5편 | 전략 수립 절차 | DX 전략 수립 5단계 구성과 활동 정리 |
6편 | 실행과제 도출 | 고객경험/프로세스/Pain Point 기반 도출법 정리 |
7편 | 실행계획과 KPI 설정 | KPI 체계 구성과 실행계획 수립 팁 |
8편 | 자주 묻는 질문(FAQ) | 현업에서 자주 등장하는 질문과 실전 답변 정리 |
9편 | 진단 체크리스트 | 조직 셀프 진단용 체크리스트 항목 제공 |
10편 | 시리즈를 마치며(마무리) | 전체 시리즈 요약, 마무리 |
📌 참고 자료 및 출처
- Capgemini - How to build a digital transformation strategy: https://www.capgemini.com/article/digital-transformation-strategy/
- BCG - 5 Steps for Building a Digital Strategy: https://www.bcg.com/publications/2020/5-steps-to-digital-strategy
- Bain & Company - Developing a Digital Strategy: https://www.bain.com/insights/developing-a-digital-strategy/
반응형
'디지털 전환(DX),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행계획 수립과 KPI 설정 방법 [DX전략 실전 가이드 #7] (0) | 2025.03.23 |
---|---|
실행과제 도출 방법론 [DX전략 실전 가이드 #6] (0) | 2025.03.23 |
우리 기업의 DX 수준 진단 방법 [DX전략 실전 가이드 #4] (0) | 2025.03.23 |
DX 전략 수립을 위한 환경 분석 방법 [DX전략 실전 가이드 #3] (0) | 2025.03.23 |
DX 전략 vs 경영·IT 전략의 관계와 차이점 [DX전략 실전 가이드 #2] (0) | 2025.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