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인사이트

[이재명 정부 vs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비교] 지역균형·지방자치 분야

SwimPark 2025. 8. 14. 11:21

1. 서론

지역균형·지방자치 정책은 수도권 집중 완화와 지역 소멸 위기 대응의 핵심 수단입니다. 이재명 정부와 윤석열 정부는 모두 지역 균형 발전의 필요성에 동의하지만, 접근 방식과 중점 정책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본 글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2-3 ‘전국이 고르게 잘 사는 균형발전’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2-2 ‘지방시대 실현’을 비교합니다.


2. 이재명 정부의 지역균형·지방자치 정책 국정과제 개요

  • 국정과제 2-3: 전국이 고르게 잘 사는 균형발전
  • 메가시티·초광역권 육성: 광역 경제권 형성, 특화산업 클러스터 구축
  • 공공기관 지방 이전 확대: 이전 지역 경제 활성화, 지역 일자리 창출
  • 생활SOC 확충: 교통·문화·의료 인프라 균형 배치
  • 재정 지원 강화: 지역균형발전특별회계 확대
  • 지방자치 강화: 지방재정 자율성 확대, 주민 참여 확대

3. 윤석열 정부의 지역균형·지방자치 정책 국정과제 개요

  • 국정과제 2-2: 지방시대 실현
  • 지방 주도 발전전략: 지역 스스로 발전 전략을 수립·집행
  • 지방소멸 대응: 청년 인구 유입 지원, 지역 맞춤형 산업 육성
  • 공공기관 이전 재검토: 기능 효율화, 이전 효과 분석
  • 규제 혁신: 지역 특화 규제 완화, 투자 유치 확대
  • 지방재정 확충: 국고보조금 제도 개선, 자율성 강화

4. 공통점

  • 지역 인프라 확충과 생활 여건 개선 추진
  • 지방재정 자율성 확대 필요성 인식
  • 지역 특화산업 육성 의지

5. 차이점

  • 발전 전략 주체: 이재명 정부는 중앙 주도 지원, 윤석열 정부는 지방 주도 계획
  • 공공기관 이전: 이재명 정부는 확대, 윤석열 정부는 효율성 검토 후 추진
  • 규제 완화 범위: 이재명 정부는 균형발전특별구역 중심, 윤석열 정부는 광범위 규제 혁신

6. 전문가·여론 반응

이재명 정부의 중앙 주도형 메가시티 전략은 추진 속도가 빠르지만, 지역 자율성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윤석열 정부의 지방 주도 전략은 자율성을 보장하나, 지역 역량 차이에 따른 격차 심화 가능성이 우려됩니다.


7. 향후 전망과 과제

  • 이재명 정부: 중앙 지원과 지역 자율성 간 균형 확보 필요
  • 윤석열 정부: 지방 역량 강화와 지역 간 격차 완화 정책 병행
  • 양 정부 모두 인구감소와 산업구조 변화에 대응하는 장기 전략 필수

8. 결론

이재명 정부는 중앙 지원 중심의 균형발전, 윤석열 정부는 지방 자율 중심의 지방시대를 지향합니다. 이는 ‘중앙 주도 vs 지방 주도’라는 차이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이재명 정부 지역균형·지방자치 국정과제(korea.kr, moleg.go.kr)
  • 윤석열 정부 지역균형·지방자치 국정과제(korea.kr, overseas.mofa.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