낡은 IT 시스템을 그대로 두면, 기업 경쟁력이 떨어진다!
많은 기업과 공공기관이 여전히 **낡은 IT 시스템(레거시 시스템, Legacy System)**을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레거시 시스템을 그대로 두면 운영 비용이 증가하고, 새로운 기술 도입이 어려워지며, 보안 리스크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 레거시 시스템(Legacy System)이란?
✅ 10년 이상 운영되어 기술적으로 노후화된 IT 시스템
✅ 최신 기술(클라우드, AI, API)과 연동이 어려운 시스템
✅ 유지보수 인력 부족, 운영 비용 증가, 보안 취약점이 있는 시스템
사실 레거시 시스템의 문제를 몰라서 안 바꾸는 게 아니다.
대부분은 시스템 노후화에 따른 EOS(End Of Service), EOL(End Of Life), 노후 플랫폼 개발자 구인난 등을 경험하고 있음에도 예산 부족으로 진행을 못 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당장 시스템이 죽거나 장애가 발생하지 않으니 의사결정권자 입장에선 굳이 수억~수십억 원의 예산을 투입할 동인을 발견하지 못하는 탓이다. 전통적으로 IT인프라가 경영지원 중에서도 맨 후순위에 위치한 사옥관리, 시설관리 같은 급의 취급을 받아 왔기 때문에 우선순위에서도 항상 후순위로 밀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IT인프라의 중요성과 그 위상은 비교적 최근인 5년, 10년 전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커졌고
운영, 유지보수를 위한 예산의 비중도 과거보다 커졌기 때문에 이럴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1. 레거시 시스템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
레거시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으면 기업의 IT 환경이 점점 더 악화된다.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 1) 유지보수 비용 증가
- 오래된 시스템은 소스 코드가 복잡하고 문서화가 부족하여 유지보수가 어렵다.
- 개발자가 퇴사하면, 기존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는 인력이 부족해진다.
📌 예시
✔️ A기업은 15년 된 ERP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었지만, 개발자가 퇴사하면서 유지보수가 어려워짐.
✔️ 결국, 외주 업체에 의존하면서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함. 이를 대체할 업체를 구하기도 힘들기에 서비스 공급자 우위의 시장에서 비싼 가격을 지불할 수 밖에 없음.
✅ 2) 신기술 도입이 어려움
- 레거시 시스템은 클라우드, AI, API, 데이터 분석 시스템과의 연동이 어렵다.
- 디지털 전환(DX)을 시도하려 해도, 기존 시스템이 발목을 잡는다.
📌 예시
✔️ 모 공공기관의 경우 업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전환하려 했으나 기존 Unix 기반의 레거시 시스템을 클라우드 전환하려면 U2L(Unix to Linux)이 불가피. 단순 플랫폼 전환만 할 수도 없고, 결국은 재구축 해야 하는데 수억~수십억 원의 시스템 구축 비용을 투입할 수 없음
✔️ RPA, 생성형AI 등을 도입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을 수정해야 하는데 15년 이상 노후화된 ERP의 기능을 수정하기가 곤란함
✅ 3) 보안 및 리스크 증가
- 오래된 시스템은 보안 패치가 지원되지 않거나, 보안 취약점이 많음.
- 데이터 유출, 해킹, 시스템 장애 등의 리스크가 커진다.
📌 예시
✔️ C기업은 10년 된 고객관리(CRM) 시스템을 운영했는데,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어 고객 데이터가 유출되어 기업 신뢰도 하락 및 법적 책임 문제가 발생함
✔️ EOS(End Of Service), EOL(End Of Life) 도래시 이후 보안 취약점, 부품보유기간 등의 보장을 받을 수 없음
2. 레거시 시스템 개선 전략: 4가지 접근법
레거시 시스템을 개선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 접근법이 있다.
기업의 환경과 예산, 기술력을 고려하여 적절한 방법을 선택해야 한다.
현실적으로는 리호스팅이 이루어지는 경우는 많지 않고, 리팩토링/리빌드 사이에서 시스템 개선이 이루어진다.
구축된 지 10년 이상 경과된 노후 시스템들의 경우 거의 리빌드가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 1) 리호스팅 (Rehosting) - Lift & Shift
✅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로 이전하여 성능과 보안을 개선하는 방법
✅ 소스 코드 수정 없이, 기존 애플리케이션을 클라우드 환경에서 그대로 운영
📌 적용 대상
✔️ 대규모 코드 수정 없이, 빠르게 클라우드 전환이 필요한 경우
✔️ 공공기관 및 금융사 등 레거시 시스템 유지가 필요한 경우
📌 장점
✔️ 빠른 전환 가능 (보통 3~6개월 내 완료)
✔️ 클라우드 환경에서 성능 향상 및 보안 강화
📌 단점
✔️ 근본적인 시스템 개편이 아니라 한계가 존재
✔️ 기존 시스템의 구조적 문제는 그대로 유지됨
🔹 2) 리팩토링 (Refactoring) - 코드 최적화 및 부분 개선
✅ 기존 시스템의 일부 코드를 최적화하고, 클라우드 및 최신 기술을 적용하는 방식
✅ 기존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개선하여 유지보수성을 높임
📌 적용 대상
✔️ 기존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운영되지만, 부분적으로 최적화가 필요한 경우
✔️ 비용을 줄이면서 시스템 성능 개선이 필요한 경우
📌 장점
✔️ 코드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이 적게 듦
✔️ 단계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리스크가 낮음
📌 단점
✔️ 완전한 구조 개선은 어려움
✔️ 기존 코드와 새로운 코드가 혼합되어 복잡해질 가능성 있음
🔹 3) 리플랫폼 (Replatforming) - 클라우드 최적화
✅ 기존 시스템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면서 일부 아키텍처를 변경하는 방식
✅ 데이터베이스, 서버 환경 등을 최신 클라우드 기술에 맞게 재구성
📌 적용 대상
✔️ 클라우드 네이티브 환경을 도입하고 싶은 기업
✔️ 성능 및 확장성을 높이면서도 기존 시스템을 유지하고 싶은 경우
📌 장점
✔️ 클라우드의 확장성과 비용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음
✔️ 기존 시스템과의 연동이 쉬움
📌 단점
✔️ 클라우드 기술 도입에 따른 학습 비용 발생
✔️ 기존 애플리케이션 변경이 필요하여 일정이 길어질 수 있음
🔹 4) 리빌드 (Rebuilding) - 완전 재개발
✅ 기존 시스템을 버리고, 새로운 시스템을 최신 기술로 재구축하는 방법
✅ 가장 비용이 크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가장 효과적인 방법
📌 적용 대상
✔️ 기존 시스템이 너무 노후화되어 유지보수가 어려운 경우
✔️ 디지털 전환(DX)을 본격적으로 추진하는 기업
📌 장점
✔️ 최신 기술을 활용하여 완전히 새로운 시스템 구축 가능
✔️ 장기적으로 유지보수 비용 절감 가능
📌 단점
✔️ 개발 기간이 길고, 비용이 가장 많이 듦
✔️ 새로운 시스템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업무 공백이 발생할 수 있음
3. 레거시 시스템 개선을 위한 단계별 전략
📌 레거시 시스템 개선 프로세스
1️⃣ 현황 분석: 현재 시스템의 성능, 보안, 유지보수성 진단
2️⃣ 비즈니스 요구사항 정의: 기업의 IT 전략과 연계된 목표 설정
- 업무 프로세스 개선이 필요할 경우 PI 또는 BPR (사실상 같은 의미) 수행
3️⃣ 적합한 개선 방법 선정: 리호스팅, 리팩토링, 리플랫폼, 리빌드 중 선택
4️⃣ 단계별 마이그레이션 계획 수립: 시스템 변경에 따른 리스크 최소화
5️⃣ 테스트 및 안정화: 변경된 시스템의 성능 및 보안 테스트 진행
6️⃣ 운영 및 지속적인 개선: 최적화 및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 수행
4. 결론: 레거시 시스템 개선, 지금이 적기다!
📌 레거시 시스템을 개선하지 않으면?
✔️ 유지보수 비용이 계속 증가함
✔️ 신기술 도입이 어려워 경쟁력이 떨어짐
✔️ 보안 리스크가 커지며, 서비스 장애, 중단 위험 상존
내가 경험한 프로젝트들의 경우 대부분은 레거시 시스템 자체가 워낙 오래되어 리호스팅, 리팩토링, 리플랫폼과 같은 방법은 적용하기 힘들고, '아예 싹 갈아엎고 재구축 하는 김에 클라우드 전환도 하자'는 경우였다. 오랫동안 누적된 IT 요구사항들을 반영하고 또 앞으로 10년 15년(...) 쓸 생각을 한다면 고쳐 쓰는 정도의 개선은 고객 입장에서 원하지 않기 때문이다.
기왕 돈 쓰는 것 신축으로 이사가야지,
굳이 돈 들여 바로 옆 구축아파트에 이사 갈 필요는 없다는 거겠지?

'디지털 전환(DX),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업이 ERP를 클라우드로 전환할 때 고려해야 할 점 (0) | 2025.03.14 |
---|---|
API 기반 아키텍처와 마이크로서비스(MSA)의 차이와 적용 사례 (0) | 2025.03.14 |
IT 시스템 통합(SI) 프로젝트의 주요 실패 원인과 대응 전략 (0) | 2025.03.12 |
공공 IT 사업의 SW 대가산정 가이드(2024) 핵심 정리 (0) | 2025.03.12 |
정보화전략계획(ISP) 컨설팅의 역할과 프로젝트 예산 관리 (0) | 2025.03.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