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8월 13일 전자신문의 IT 관련 주요 기사들은 우리 사회가 AI를 기술 중심에서 전략·정책·인재 기반으로 확장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줍니다. AI 인프라, 생태계 조성, 기업 실적, 인재 확보 등 다층적인 전개가 이어졌습니다.
1. SKT, 광복 80주년 기념 다큐 ‘AI 독립’ 공개
SK텔레콤이 광복 80주년을 맞아 ‘광복 80년, 그리고 보이지 않는 전쟁: AI 독립’라는 제목의 다큐멘터리를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했습니다. 역사 전문가와 AI 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했고, 독립운동가들을 AI 기술로 복원해 애국가를 합창하는 장면을 담았습니다. 이를 통해 AI 기술과 AI 데이터센터 같은 인프라를 국가 주권 차원에서 강조했습니다. 이 콘텐츠는 AI가 기술을 넘어 전략 자산이 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2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2
2. 메가존클라우드, AI 챔피언 대회 GPU·AI 모델 지원
메가존클라우드가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의 ‘2025년 AI 챔피언 대회’ 컴퓨팅 자원 지원 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사업은 GPU와 생성형 AI API를 제공해 연구 환경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 예산은 약 15억 원 규모지만, AI 인재 양성이라는 정부 전략적 과업과 맞닿아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 사전심사 단계에서 630개 팀이 지원해 약 6.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으며, 상위 100개 팀이 GPU(H100 등)와 생성형 AI API 자원을 모두 활용할 수 있습니다.
- 후속 심사에 따라 최대 30억 원의 후속 연구비도 제공됩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3. 아이티아이즈, 상반기 실적 성장…‘GENAI’로 AI 생태계 변혁 예고
IT 솔루션 기업 아이티아이즈는 2025년 상반기 경영실적을 발표했습니다.
- 2분기 매출은 205억 원, 누적 상반기 매출은 418억 원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3억 1400만 원 수준입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1
- 전환사채 평가손실 탓에 순이익은 적자를 기록했지만, 금융·핀테크 분야 수주, ‘고디스(GODIS)’ 솔루션 공급 등이 실적 개선에 기여했습니다.
- 하반기에는 AI 기반 솔루션 ‘GENAI’를 중심으로 의료 마이데이터 플랫폼 등 신규 사업을 확장할 계획입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4. 은행권, AI·클라우드·블록체인 전문인력 확보 강화
금융권이 AI,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첨단 기술 분야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섰습니다.
- 우리은행은 AI전략센터에서 AI 모델링 및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를 채용 중이며, AI 기반 검색 서비스(RAG) 등 실용 시스템 구축을 추진합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하나은행은 AI 모형 개발, 빅데이터 분석, 생성형 AI 서비스 경험자를 대상으로 채용하고 있습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신한은행은 블록체인 사업 기획 담당자를 모집하며, 디지털 자산 기반 시장 활성화에 대응할 전문 인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은행권 전반에 걸쳐, 실무 역량을 가진 인재가 중심이 되어 기술 금융(Tech‑based finance)을 가속화하고자 하는 흐름이 명확해졌습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5. 와이즈버즈, 디지털 광고 실적 역대 최고
디지털 광고 대행사 와이즈버즈는 2025년 상반기 실적에서 의미 있는 성장세를 나타냈습니다.
- 상반기 매출은 전년 대비 66% 증가한 약 195억 원, 2분기 기준 매출은 111억 원으로 분기 기록을 경신했습니다.
- 영업이익은 전년 상반기 6억 원대 적자에서 25억 6천만 원 흑자로 전환했습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1
- 실적 개선 요인은 자회사 애드이피션시와의 시너지, 네이버 플러스 스토어 런칭 캠페인 성공, 메타·구글·틱톡 등 주요 플랫폼과 강력한 제휴 때문입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6. 사설: “ICT 다음은 AI, 혁신경제의 중심이다”
전자신문 사설에서는 ICT 수출 호조와 더불어 AI 전면화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 7월 국내 ICT 수출은 221.9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5% 증가하며, 무역수지 흑자도 전체 산업 대비 훨씬 높았습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 이재명 정부는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를 국정 목표로 삼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하는 핵심 축은 AI 기반 인프라, 인재, 정책 체제 구축입니다. AI를 중심으로 국가 경쟁력을 재편하려는 전략을 보여준다고 평가했습니다.미래를 보는 창 - 전자신문
종합: 기술 생태계 확장을 향한 집중적 흐름
2025년 8월 13일의 IT 분야 주요 이슈는 크게 다음과 같은 흐름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 AI 인프라를 국가 전략 자산으로 인식
SKT의 다큐멘터리, 사설의 강조 모두 AI 인프라 및 기술의 전략적 위상을 드러냅니다. - AI 생태계 조성과 인재 기반 강화
메가존클라우드의 챔피언 대회 지원, 은행권의 첨단 기술 인재 채용은 AI 활용과 혁신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 움직임입니다. - 기업의 AI·디지털 전략과 실적 개선
아이티아이즈의 GENAI 기반 확장, 와이즈버즈의 디지털 광고 실적 상승은 기업 차원의 기술 전략 실행이 실적으로 이어진 사례입니다.
이들 흐름에서 드러나는 핵심은 AI 중심의 생태계 통합 및 전략적 전환, 그리고 그 전환을 이끌 인재·정책·기업이 함께 움직이고 있다는 점입니다. 8월 13일은 이러한 변화의 여러 축이 구체적으로 드러난 하루라고 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전환(DX),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재명 정부 100대 국정과제 - IT·혁신경제 분야 (3) | 2025.08.14 |
---|---|
2025년 8월 7일 IT 이슈: 기술 전환기, 산업과 소비자의 교차점 (4) | 2025.08.07 |
왜 GPU 서버인가? AI 플랫폼 도입의 전제조건 [GPU 서버 도입 실전 가이드 #1] (0) | 2025.07.06 |
AX 인재를 어떻게 확보할 것인가? 3년 로드맵 정리 (0) | 2025.06.17 |
국내에서 팔란티어를 도입하려면? - 도입 경로·절차·지원 체계 완전 정리 (1) | 2025.05.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