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DX), IT

정보계 구축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5가지 핵심 요소 [정보계 구축 실전 가이드 #5]

SwimPark 2025. 3. 25. 05:00
반응형

정보계 구축 실전 가이드

정보계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있어 기술이나 도구보다 더 중요한 것은 전략적 고려사항과 운영 설계다. 많은 정보계 프로젝트가 시간이 지나면 사용되지 않거나, 현업에서 외면받는 이유는 "시스템은 잘 구축했으나 실제 업무에 도움이 되지 않아서"다. 이번 글에서는 정보계 구축 시 반드시 고려해야 할 5가지 핵심 성공 요소를 정리한다. 실전 프로젝트 경험을 토대로 실무자와 기획자 모두에게 유용한 체크리스트가 될 수 있을 것이다.


1. 데이터 품질 관리 체계

정보계의 성패는 "데이터가 얼마나 믿을 수 있는가"에 달려 있다. 아무리 고도화된 대시보드를 구축해도 데이터가 오류투성이면 누구도 신뢰하지 않는다. 대개 이 단계를 소홀히 하기에 기껏 구축한 데이터 플랫폼을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단 구축해놓고 보자는 식.

 

✔️ 반드시 점검할 항목

  • 데이터 정합성 확보 (중복, 누락, 오류 데이터 제거) 
  • 마스터 데이터 관리 (코드 일관성, 표준 코드 적용)
  • 데이터 품질 측정 지표 도입 (정확도, 최신성, 완전성 등)

2. 사용자 중심의 리포트 설계

현업 사용자가 실제로 활용할 수 있는 리포트와 대시보드를 설계해야 한다. 너무 복잡하거나 현업 언어와 맞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게 된다. 구축 기획 단계에서부터 현업부서의 참여는 필수적이다.

 

✔️ 반드시 점검할 항목

  • 주요 KPI 중심의 리포트 구조 설계
  • Drill-down, 필터, 시계열 분석 등 탐색 기능 제공
  • 부서별 리포트 템플릿 표준화 및 사용자 테스트 진행

3. 조직적 운영 및 지원 체계 마련

정보계는 구축 이후가 더 중요하다. 시스템이 제대로 운영되려면 조직적인 지원 체계가 필수다. 정보계에서 뽑아 낸 데이터를 실제로 의사결정에 활용하고자 하는 경영진, 의사결정권자의 의지도 매우 중요하다. 정보계에서 양질의 분석 데이터가 나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교차검증을 이유로(물론 교차검증은 필요하다) 다시 엑셀로 계산해 보라거나(...) 본인의 직감을 더 우선시하는 경우가 현장에선 비일비재하다.

 

✔️ 반드시 점검할 항목

  • 정보계 운영 조직 구성 (IT팀 + 사용자 지원팀)
  • 데이터 요청, 신규 리포트 개발 요청 프로세스 명확화
  • 교육, 매뉴얼, FAQ 등 사용자 지원 체계 구축
  • 경영진, 의사결정권자의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의지(중요)

4. 유지보수 및 확장 계획 수립

초기 구축 이후 시스템을 계속 확장·개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 계획이 없으면 정보계는 몇 년 내 무용지물이 될 수 있다.

 

✔️ 반드시 점검할 항목

  • 연간 유지보수 예산 확보(구축 비용의 15% 이상)
  • 리포트/대시보드 추가 개발 계획 수립
  • 신규 데이터 소스 추가에 대한 기술적 유연성 확보

5. 정보계 성과 측정 및 리뷰 체계

정보계도 성과를 측정하고 지속 개선해야 한다. 단순히 리포트 숫자를 세는 것이 아니라, 경영 성과와 연결되는 활용도를 분석해야 한다.

 

✔️ 반드시 점검할 항목

  • 사용자 로그 분석 (조회 수, 사용 빈도 등)
  • 리포트 기반 의사결정 사례 수집
  • KPI 달성도와의 연계 분석 (예: 보고 정확도 향상률 등)

6. 정리하며: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운영과 문화'

정보계는 단순한 IT 프로젝트가 아니라, 데이터 기반의 일하는 방식을 정착시키는 조직 변화 프로젝트다.
기획 단계부터 운영, 개선까지 고려한 설계가 이루어져야만 지속 가능한 정보계 시스템이 완성된다. 특히 '데이터 기반의 의사결정'이 확산될 수 있도록 경영진과 의사결정권자들의 적극적인 인식 변화가 요구된다.

 

👉 다음 편에서는 정보계의 핵심 – 운영계 및 외부 시스템과의 데이터 연계 전략에 대해 살펴본다.

 

< 주제명 클릭시 해당 편으로 이동합니다>

편수 주제 핵심 키워드
1편 정보계란 무엇인가 운영계 vs 정보계, 구성요소 이해
2편 정보계가 필요한 이유 실무, 경영, 미래 대응 관점 필요성 강조
3편 용어 정리 DW, BI, DAP, 데이터레이크 구분
4편 구축 단계 5단계 접근법 및 주요 산출물 소개
5편 고려 요소 데이터 품질, 리포트 설계, 운영 체계 등
6편 연계 전략 운영계/외부 시스템과의 연동 설계
7편 예산 구성 TCO 관점, SaaS vs 온프레미스 비교
8편 사용자 활용도 교육, 데이터 문화, 커뮤니티 운영 등
9편 핵심 리포트 현업이 꼭 필요로 하는 Top 10 리포트
10편 실패 사례 실무에서 흔히 겪는 실패와 교훈
마무리 정보계 구축 실전 가이드를 마치며 마무리

📌 참고 자료 및 출처

  1. BCG - Making BI Systems Work: https://www.bcg.com/publications/2021/building-effective-bi-ecosystems
  2. Deloitte - Data Governance in BI: https://www2.deloitte.com/us/en/pages/consulting/articles/bi-data-governance.html
  3. TDWI - Best Practices for BI Success: https://tdwi.org/articles/2020/06/22/adv-all-best-practices-bi-success.aspx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