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주제와 질문(RQ)이 설정되었으면, 이제 본격적으로 논문 작성을 위한 사전 작업 중 하나인 ‘선행연구 조사’ 단계에 들어서야 한다. 이 단계는 흔히 가장 시간이 많이 걸리는 과정 중 하나로, 수많은 논문들을 읽고 정리하고 비교해야 한다. 하지만 ChatGPT를 잘 활용하면 검색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핵심 논문 요약, 구조적 정리에 이르기까지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선행연구 조사의 핵심 목표
논문에서 선행연구 조사는 단순한 나열이 아니라 다음의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
- 내가 하려는 연구와 유사한 시도가 어떤 것이 있었는지 파악
-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근거 정리
- 개념 정의, 변수 선정, 분석 방법 등에 대한 이론적 근거 확보
GPT는 검색 그 자체보다는, 검색의 ‘전략을 설계하고 결과를 정리’하는 데 더 적합하다.
ChatGPT로 검색 전략을 수립하는 법
ChatGPT는 구체적인 키워드 조합, 논문 제목 후보, 검색 쿼리 개선 등에서 효과적이다.
1. 검색 키워드 구조화
활용 프롬프트 예시
‘ESG 경영이 중소기업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주제로 논문을 찾으려 해. 구글 학술검색이나 DB 검색에 쓸 수 있는 키워드 조합을 제안해줘. 한글과 영어 둘 다 필요해.
▶ GPT 응답 예시:
- 한글: “ESG 경영”, “중소기업”, “조직몰입”, “지속가능경영”, “내부구성원 인식”
- 영어: “ESG management”, “SMEs”, “organizational commitment”, “sustainable business”, “employee perception”
2. 검색 쿼리 개선
GPT는 boolean 연산자나 DB 특화 검색 전략도 제시 가능하다.
활용 프롬프트 예시
Scopus나 Web of Science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어 검색식을 제안해줘. AND, OR, NOT 등을 활용해서.
▶ 예시:
("ESG" OR "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AND ("SME" OR "small busi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ChatGPT를 활용한 논문 요약 및 비교
논문 원문을 요약하거나 구조를 비교하는 데도 유용하다. 단, 요약을 요청할 때는 논문 초록(abstract) 또는 일부 문장을 직접 입력해야 한다.
1. 논문 요약 및 구조 비교
활용 프롬프트 예시
다음은 두 개의 논문 초록이야. 각각의 주요 목적, 방법, 결론을 정리해줘. 그리고 이 둘의 차이점도 요약해줘.
▶ GPT는 다음과 같이 정리해준다:
- 논문 A는 정량연구, 설문조사를 활용하여 ESG와 몰입의 상관관계를 검증
- 논문 B는 사례연구 기반의 질적 접근으로 내부 인터뷰 분석
- 두 논문 모두 ESG가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공통점, 접근방식이 다름
2. 연구 흐름 정리 템플릿 만들기
GPT에게 구조화된 표나 도식으로 정리해달라고 요청하면 업무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활용 프롬프트 예시
아래 논문들의 핵심정보(저자, 연도, 연구방법, 주요 변수, 주요 결론)를 표 형식으로 정리해줘.
▶ 예시:
저자연도연구방법주요 변수결론
저자 | 연도 | 연구방법 | 주요 변수 | 결론 |
홍길동 외 | 2021 | 설문조사 | ESG 도입 수준, 조직몰입 | 유의한 정(+)적 영향 확인 |
선행연구 정리용 GPT 활용 템플릿 예시
목적 | 프롬프트 예시 |
키워드 정리 | “이 주제로 검색에 쓸 수 있는 핵심 키워드를 한글+영어로 정리해줘.” |
검색 쿼리 생성 | “AND, OR 등을 포함해 DB 검색용 쿼리문을 만들어줘.” |
논문 요약 | “이 논문 초록을 읽고 목적-방법-결론을 요약해줘.” |
비교 분석 | “이 두 논문이 어떤 점에서 유사하고, 어떻게 다른지 정리해줘.” |
ChatGPT 활용 시 유의사항
- ChatGPT는 데이터베이스 그 자체가 아니므로, 최신 논문 검색 자체는 Google Scholar, Scopus, DBpia 등을 병행해야 한다.
- 논문 초록은 복사해서 직접 입력해야 GPT가 이해 가능하다.
- GPT가 생성한 정보는 항상 2차 검토 필요 (요약 누락, 왜곡 가능성)
마무리
선행연구는 논문의 설계도를 짜기 위한 가장 중요한 기초 자료다. ChatGPT를 ‘검색 도우미’가 아니라 ‘구조화 정리 보조자’로 활용한다면, 검색 효율과 정리 정확도를 모두 높일 수 있다. 다음 편에서는 이렇게 정리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이론적 배경을 어떻게 구성할 수 있는지, GPT를 활용한 흐름 설계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
📌 참고 자료 및 출처
- Google Scholar: https://scholar.google.com
- Scopus: https://www.scopus.com
- Web of Science: https://www.webofscience.com
- 한국교육학술정보원(RISS): https://www.riss.kr
📘 <ChatGPT로 쓰는 석사 논문 실전 가이드> 시리즈 소개
이 시리즈는 석사 논문을 준비하는 대학원생들이 ChatGPT를 300% 활용해 주제 선정부터 연구설계, 본문 작성, 교정 및 피드백까지 실전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를 단계별로 안내한다. 각 편은 실제 활용 가능한 프롬프트 예시와 주의사항을 포함하며, AI의 창의성과 연구자의 비판적 사고를 결합하는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논문 초심자뿐 아니라 논문 막바지에 있는 연구자 모두에게 유용하다.
필자는 ChatGPT가 없던 약 7년 전 석사과정 재학시 약 4편 정도의 논문을 작성, 발표한 경험이 있다. 당시에 ChatGPT가 있었더라면 논문이 훨씬 유려한 문장과 탄탄한 기반을 가지고 작성되지 않았을까?
'잡학도서관(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구모형과 변수 정의: 개념 명확화에 GPT를 활용하는 방법 [ChatGPT로 쓰는 석사 논문 실전 가이드 #5] (0) | 2025.04.20 |
---|---|
이론적 배경 구성: GPT와 함께 논리 구조 짜기 [ChatGPT로 쓰는 석사 논문 실전 가이드 #4] (0) | 2025.04.19 |
논문 주제 정하기: ChatGPT로 리서치 아이디어 발굴하기 [ChatGPT로 쓰는 석사 논문 실전 가이드 #1] (0) | 2025.04.19 |
세입자 퇴거 시 집주인이 꼭 확인해야 할 사항 정리 (0) | 2025.04.11 |
[메타인지 시리즈 #7] AI 시대의 메타인지 – 디지털 사고를 설계하는 법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