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인사이트

[이재명 정부 vs 윤석열 정부 국정과제 비교] 경제·산업 정책: 성장 전략과 산업 육성 방향의 차이

SwimPark 2025. 8. 14. 06:46

1. 서론

한국 경제는 저성장, 인구구조 변화, 글로벌 지정학적 리스크 등 복합적인 도전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이재명 정부와 윤석열 정부가 각각 어떤 경제·산업 정책을 통해 성장과 산업 전환을 도모하려 하는지 비교하는 것은 중요한 의미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3-1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와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1-1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를 중심으로, 두 정부의 접근 방식과 차이를 살펴봅니다.


2. 이재명 정부의 경제·산업 정책 국정과제 개요

이재명 정부의 국정과제 3-1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는 미래 전략 산업을 국가 성장 동력으로 삼는 정책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미래 산업 집중 육성: AI, 바이오·헬스, 반도체, 이차전지 등
  • 인프라·기술 개발: AI 고속도로 구축, 독자 AI 생태계 조성, AI 반도체·원천기술 확보, 고급 AI 인재 양성
  • 산업 환경 개선: 네거티브 규제 체계 전환, 미래산업 중심 메가특구 도입
  • 재원 조달 계획: 100조 원 규모 국민성장펀드 조성, 5년간 약 210조 원 재정 투입 계획

이재명 정부는 정부 주도 투자와 규제 완화를 통해 혁신 기반을 조성하고, 전략 산업에서 글로벌 선도국으로 도약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3. 윤석열 정부의 경제·산업 정책 국정과제 개요

윤석열 정부의 국정과제 1-1 ‘민간이 끌고 정부가 미는 역동적 경제’는 민간 주도 성장을 핵심 기조로 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혁신성장 기반 조성: 핵심전략산업(반도체, AI, 배터리, 바이오, 디지털헬스) 집중 지원
  • 기업 생태계 강화: 중소·벤처기업 중심 경제 구조 구축
  • 금융·세제 지원: 혁신금융 시스템 확립, 세제 인센티브 확대
  • 규제 혁신과 공정 경쟁: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 기술 탈취 방지 및 공정 경쟁 질서 확립

윤석열 정부는 시장 중심의 구조 개편과 민간의 자율성을 중시하며, 정부는 이를 보완하는 역할을 맡는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4. 경제·산업 정책의 공통점

  • 두 정부 모두 미래전략산업(AI, 반도체, 바이오 등)을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보고 집중 육성 계획을 제시했습니다.
  • 산업 활성화를 위해 규제를 완화하려는 점에서 공통점을 보입니다. 이재명 정부는 ‘네거티브 규제’라는 명칭을, 윤석열 정부는 ‘규제 혁신’이라는 표현을 사용하지만 지향점은 비슷합니다.
  • 중소·벤처기업의 성장 지원과 이를 위한 생태계 조성에 공통적인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5. 경제·산업 정책의 차이점

  • 경제 철학: 이재명 정부는 정부 주도 혁신 기반 구축에 방점을 찍고, 윤석열 정부는 민간 주도 성장 구조를 강조합니다.
  • 규제 접근법: 이재명 정부는 규제 최소화를 통한 산업 자율성 확대를, 윤석열 정부는 공정 경쟁 유지와 규제 혁신을 병행합니다.
  • 재원 조달 방식: 이재명 정부는 대규모 공공 기금 조성을, 윤석열 정부는 민간 중심의 세제·금융 지원을 선호합니다.
  • 정책 어조: 이재명 정부는 ‘성장’과 ‘생태계 조성’에 무게를 둔 표현을, 윤석열 정부는 ‘지원’과 ‘시장’을 강조하는 표현을 주로 사용합니다.

6. 전문가·여론 반응

전문가들은 두 정부 모두 미래 전략 산업 육성 의지는 높이 평가하지만, 재원 조달 가능성과 정책 실행력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립니다. 특히 이재명 정부의 대규모 재정 투입 계획은 재정 건전성 측면에서, 윤석열 정부의 민간 주도 방식은 경기 침체 시 대응력 측면에서 우려가 제기됩니다.


7. 향후 전망과 과제

이재명 정부는 계획한 210조 원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효과적으로 배분해야 하며, 윤석열 정부는 민간 주도 성장의 성과를 경기 변동 속에서도 유지할 방안을 마련해야 합니다. 양 정부 모두 국회 입법과 예산 확보 과정에서 정치적 변수에 직면할 수 있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기술 경쟁 심화에 신속히 대응할 역량이 요구됩니다.


8. 결론

이재명 정부와 윤석열 정부 모두 미래 전략 산업 중심의 성장과 중소·벤처기업 강화라는 큰 틀에서는 유사한 목표를 갖고 있지만, 정책 추진 방식과 재원 조달, 규제 접근법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이를 ‘정부 주도 vs 민간 주도’, ‘공공 기금 vs 세제·금융 지원’, ‘규제 최소화 vs 규제 혁신’의 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출처

  • 윤석열 정부 6대 국정목표 및 120대 국정과제 발표(opm.go.kr, korea.kr, nsp.nanet.go.kr, chiefexe.com, news.mt.co.kr, overseas.mofa.go.kr)
  • 국정운영 120대 과제 상세 분류 및 경제 전략(nsp.nanet.go.kr)
  • 어휘 및 질적 분석 기반 민간 중심 성장 전략(chiefexe.com)
  • 이재명 정부 5대 국정목표 및 추진 과제, 경제 전략 설명(korea.kr)
  • 이재명 정부 국정과제 재원 추산(news.mt.co.kr)